본문 바로가기

[입냄새/치경부마모증/치아건강] 양치질 - 올바른 치약 사용 방법

 

치약 사용법

 

 

회사에서 밥 먹고 놀다가..

 

"치약 사용할 때 진~짜 조금 써도 충분하데요~.

거의 위에 살짝 바르는 정도만?

많이 쓰면 안좋데요.."

 

라는 얘길 들었습니다.

 

 

난생처음 듣는 얘기..

 

전 원래 양치할 때 치약을 적게 사용하는 편이라..

(딱히 아끼려고 그런 건 아니지만 습관처럼..)

 

'칫솔모 너비를 가득 채우는 정도가

제대로 된 사용량인가 보다'

 

라는 생각은 평소에 하고 있었습니다.

 

 

근데 지인의 저 이야기를 듣고

이것저것 검색해보니

 

치약은 '칫솔모의 4분의 1 정도'만 채워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.

 

(물론 이것도 언제까지 정답일 순 없습니다.. 많은 정보들이 그렇듯..)

 

 

그 이유로 거론되는 것이

 

치약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중

많은 부분을 차지하는

 

'연마제'라는 성분인데,

 

이것은 칫솔에 묻혀 치아를 닦는 물리적인 행위를 할 때

 

플러그를 제거해주고,

착색된 치아의 표면을 미세하게 연마해서

착색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.

 

 

단순히 연마제를 강하게 써서

더 깨끗이 닦으면 되는 거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,

 

우리 치아의 잇몸과 맞닿은 뿌리 쪽 부분은

개인에 따른 잘못된 칫솔질 방법 (좌우로 닦는 횡마법)과

연마제의 강도에 따라

계속적인 마모가 될 수 있고,

 

나중에 할머니, 할아버지 되면..

또는 그 이전에도..

 

아래 그림과 같은 현상이 발생해서

치아당 5~10만 원씩의 레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.

 

치경부마모증

 

(사진은 징그러와서 그림으로 가져왔어요..ㄷㄷ)


외국 같은 경우엔 치약에

 

RDA (Relative Dentin Abrasivity)

 

(치아 마모도 지수)

 

를 표기해 놓아서 소비자가 본인의 칫솔질 방법에 맞춰

알맞은 수치의 연마제를 함유한 치약을 선택하게 되는데..

 

우리나라는 아직 그걸 의무로 해야 되는 법이 없어서

표기를 하지 않는 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.

 

2018년에 국정감사에서

신동근 국회의원이 문제제기를 했었지만,

아직 법안이나 규정에 변화는 없는..

 

그 외에도

 

치약은 칫솔모에 푹 담기게 짜서

칫솔모에 치약이 잘 발라지도록 해서 닦는 것이

더 효과적이라고 하고..

 

나도 그렇지만, 일반적으로

거품이 더 잘나게 하기 위해

치약에 물을 묻혀서 닦게 되는데

 

치약의 농도가 옅어져서

치약의 제 기능을 다 할 수 없으니

물 없이 치약만으로 닦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.

 

또한

입을 헹굴 때는 찬물이니 미지근한 물보단

따듯한 물이 입냄새나 치태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하고..

 

헹굼은 9~10회 정도 해주는 것이 좋은데..

 

치약 성분 중 거품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를

제대로 헹궈내지 않으면 입이 금방 마르게 되고

이는 세균이 쉽게 살기 좋은 산성화 환경이 되어서

 

입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..

 

주절주절 하다 보니 길었지만..

 

궁금한 분들만 봤을 거라고 생각하고

다른 분들은 그림으로 대신하면 될 것 같습니다 ㅎ

 

매일 3,4번씩 하는 양치..

올바르게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!! :)

JoyfulDoodler

아이패드와 프로크리에이트로 세상사는 이야기,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그리고, 사소한 궁금증과 알쓸신잡을 나눠요! :)